That Old Wallpaper

‘That Old Wallpaper’ 
Presented by Space One 
Curated by SuKyung Hwang
With Artists: Ik Soo Kaay, InYoung Yeo, Lee Soon Jong 

‘That Old Wallpaper’ forms an omniverse-like narrative of images focused on Korean female artists in different generations. The title comes from the board game, That Old Wallpaper, where multiple players are given cards with different shapes to match various patterns. The works of artists collect divided shapes of patterns and connect their time and space into one large wallpaper or a room of their own, projecting the everyday ‘screen’. The three artists, Ik Soo Kaay, InYoung Yeo, and Lee Soon Jong are now in their twenties all the way to their seventies creating images that traverse divergent cultural times. Their works are like how stories of a grandmother to a mother to a daughter continue. On the border where they share time, they produce both unfamiliar shapes of patterns of misunderstandings and familiar ones of solidarity. The multigenerational female artists continue the dispersion that becomes ‘that old wallpaper’ surrounding the interior of a room and when they align, they become ‘her history’. 

Text by SuKyung Hwang
Translated by InYoung Yeo

Space One was founded in 2014 as an artist-run exhibition and project space. Since 2020 it has shifted to a project focused space inviting artists and curators for international, independent and discursive exchanges and collaborations.


Artist Intro:
 

Ik Soo Kaay (b.1994) works with various media to explore image casting. She mediates between material and language, transforming them into the sensory formal language of media. She eradicates the historicity inherent in artifacts, peels away the sensory epidermis, and reinterprets them as media art. She translates the visual data of actual artifacts into paintings, 3D printing, 3D rendering animations, and sound installation works. She participated in exhibitions such as "Horror Workshop" (space Poolmoojil, 2022) and "The Skin Works" (Sool Sool center, 2022). Since 2020, she has also been active with novelist Choi Chu-young as part of the art-collective team 'Jangso Translator'.

InYoung Yeo (b1979) is an artist based in Seoul. Her work expands from text, drawing, and video installation works to research based projects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n topics of Gender, A.I. and Urbanization. She explores personal narratives of vulnerabilities, migration and gendered memories, structures and systems of communities, and ethics and humanities around artificial intelligence finding  patterns, coincidences in numbers, critical and erotic dimensions of differing micro-narratives with a focus on cyclical relations. Yeo approaches these topics with performative, discursive and speculative ways circling around desire, capital and consumption cycle. She works internationally and has participated in various projects, exhibitions, residencies, talks, and workshops in Korea, Germany, North America, Southeast Asia among others. 

Lee Soon Jong (b. 1953)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North Texas and Hongik University. She has presented a wide spectrum of work ranging from two to three dimensional works and installation pieces since 1990. As a Korean woman artist, her interest expands from the division and ceasefire state of Korea to exploration of the border between contemporary hybrid culture and tradition. While experimenting with her identity as a Korean woman, woman, and an artist, she is known for her work "Women" series. She continues to address topics of eroticism, identity, and "life” through the video work ‘Room #407’.


Work image, caption and statement: 

‘Altered Gravity’, 10’27”, single channel color sound, Ik Soo Kay 2023 

‘Altered Gravity’ is an audio-visual work re-imagined by artist Ik Soo Kaay based on the novel <mercury> created by the team 'Jangso Translator', in collaboration with novelist Chu-young Choi in 2022. <mercury> consists of individual videos and novels, each utilizing data from three artifacts. For the creation of <Altered Gravity>, selected excerpts from Chu-young Choi's novel were gathered, and additional artifact data was incorporated alongside chosen artifact data for the video production, becoming the materials of the artwork. The collected text appears as subtitles in the video. The visual surfaces undergo transformation, taking on entirely different properties and dynamically moving as if experiencing a gravity different from reality.

‘Micro-versed in licking the gloss’,18’31” single channel color sound, InYoung Yeo 2022 

‘Micro-versed in licking the gloss’ explores the microcosmos of the inside of the mouth from the bodily tongue movements (how it curls, flattens and licks) to the expressive sounds (made by the surface tensions of different fluidities) to the semiotics of language. It explores the fuzzy spaces in between shaped like a hole that creates a form of resistance and resilience, from the polarizations of gender, human/non-human and race creating an empathetic space exploring how simple expressive sounds are phonetically signified by various vowels and turn into Onomatopoeia as 21 vowels of Hangul assimilate subtle movement of sounds. It follows a personal migratory story of three generations of women and the deterritori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o the technological transformation of our digital presence

‘Room #407’, 8’25”, single channel color sound, Lee Soon Jong 2001




<그 오래된 벽지>
참여작가: 이순종, 여인영, 익수케
기획 : 황수경

<그 오래된 벽지>는 옴니버스 형식의 구성으로 다세대 한국 여성 작가들이 다른 시대의 문화적 경험들 통해 상상하고 시각화된 각각의 관심사를 한 장의 카드처럼 꺼내 놓는다는 뜻으로, 이는 여러 명의 플레이어가 함께 조각을 맞추는 보드게임의 이름과 같다. 방의 안쪽을 포장한 벽지는 매일같이 마주하는 일상의 스크린이다. 쉽게 잠이 들지 않는 밤이면 벽지를 바라보며 다양한 상상을 하곤 했다. 추억의 오래된 벽지에는 다양한 무늬의패턴이 있었고 그 무늬는 가끔 무서운 괴물의 모습이기도, 귀여운 강아지나 고양이 모습을 하기도 했다. 똑같은 모양 중 단 하나에 집중해 이야기를 만들다 보면 어느새 꿈속으로 이야기는이어진다. 배경 화면 카드 더미를 드래프트하고 함께 연결하여 추억의 패턴을 가장 가깝게 재현하는 “That Old Wallpaper” 보드게임은 가장 많은 모양과 색상을 맞추고, 독특한 기념품을 수집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벽지 조각을 모은 플레이어가 게임에서 이기고 할머니를 자랑스럽게 만다는 내용의 보드게임이다.

이렇게 한국의 20대~70대 여성 작가들의 다양한 시대 문화적 배경에서 만들어진 각자의 시각화된 이미지들을 꺼내 놓으며 서로를 연결하는 역할의 작품들은 할머니에서 엄마로 그리고 딸로 이어지는 이야기이다. 그들은 서로를 시간으로 나누는 경계에서 예상치 못한 오독으로 이질적인 모양의 패턴을 생성하기도 하며, 비슷한 모양의 카드를 내놓으며 즐거워하며 서로를 이해하며 연대의 패턴을 만들기도 할 것이다. 이는 다세대 여성들의 시간과 공간에서 불러들인 모양 조각들을 이어 붙여 방안을 두른 “그 오래된 벽지”가 되고, 벽지 위 다양한 모양의 패턴이 함께 정렬하면 ‘그녀들의 역사’가 될 것이다.


스페이스원 소개
스페이스원은 2014년부터 작가가 운영하는 공간으로 다양한 국내외 협업 및 교류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습니다. 2021년 마지막 전시로 한국과 국제를 연결하며 국내외 큐레이터를 초청하여 기획을 진행하는 국내 예술의 국제적 협업과 교류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www.artspaceone.org)


작가소개

노스텍사스대학교 대학원과 홍익대학교 조소과 출신 이순종(b. 1953)은 1990년대 한국의 페미니즘 작가로 평가되는 2006년부터 분단국이자 휴전 국가인 한국 상황에 관한 관심과 동시대 잡종 교배 문화와 전통 간의 경계를 탐험하며 평면, 입체, 설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업의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한국인 여성, 여성,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실험하면서 신윤복의 '미인도'를 재해석한 대표작 '여인' 작업 시리즈로 호평을 받았고 에로티시즘으로 설명하는 작가는정체성, 특히 '생명성'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여인영(b. 1979)은 마음의 우발적 구조를 기반으로 관계의 순환성을 주시하며 글, 그림, 영상설치 작업을 한다. 마이크로-내러티브에서 발생하는 구멍에서 반복되는 패턴, 몽상적, 낭만적차원으로 개인적 서사 그리고 연구 중심의 프로젝트까지 확장한다. 한국, 독일, 북미 등 국내외, 토렌스 아트 뮤지엄 캘리포니아, 토탈미술관, 인미공, 대림 미술관, 서울도시건축 비엔날레, 국립현대미술관, Banff 센터 캐나다, 드로잉 센터 뉴욕, Basis 프랑크푸르트, Strizzi 쾰른등에서 다수의 프로젝트, 전시, 레지던시, 토크 및 워크숍에 참여했다. 강보라

익수케(b.1994)는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이미지 주조에 관심을 두고 작업한다. 물질과 언어를 미디어의 감각적 조형언어로 매개해오고 있으며, 유물에 내재된 역사성을 소거하고 감각적인표피를 벗겨내미디어아트로 재해석한다. 작가는 실제 유물의 시청각적 데이터를 회화, 3D 프린팅, 3D 렌더링 애니메이션, 사운드 설치 작품으로 구현한다. 《공포 워크숍》(공간 풀무질, 2022), 전시 《유물박피》(술술 센터,2022) 등에 참여했다. 2020년부터 소설가 최추영과 팀 장소통역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작품 캡션 및 소개:

 <력중력(Altered Gravity)> 익수케, 단채널 영상 10‘27“, 2023

 <력중력(Altered Gravity)>은 2022년 소설가 최추영과 함께 팀 ‘장소통역사’ 이름으로 제작한 <銀-하행(mercury)>을 익수케가 다시 각색한 오디오 비주얼 영상이다. <銀-하행(mercury)>은 3개의 유물 데이터를 활용한 각각의 영상과 소설로 이루어져 있다. 이번 <력중력> 제작을 위해 최추영의 소설 텍스트 일부를 채집하고, 영상 제작을 위해 선택한 유물 데이터와 다른 유물 데이터를 추가해 작품의 재료로 삼았다. 채집한 활자는 영상에 자막으로 등장한다. 화면 속 외피는 전혀 다른 물성을 지니게 되고, 현실과 다른 중력을 받는 것처럼 역동적으로 움직인다. 

<micro-versed in licking the gloss> 여인영, 단채널 영상 18’31”, 2022

<micro-versed in licking the gloss>는 움직임, 소리 그리고 언어의 기호학까지 입안에서 발생하는 소우주를 탐험한다. 관찰자와 관찰의 대상자의 얽히고 섥힌 관계성을 밈 (meme)  모방하는 micro-versed dimension device (MVDD)를 상상하며 젠더, 인간/비인간 그리고 인종의 분극화 사이에서 구멍의 모양으로 보송보송한 저항의 공간을 형성한다.  한글의 21개의 모음과 의태어, 의성어의 기호학을 기반으로 3세대의 여성의 이주서사, 한글의 탈식민적 사고 그리고 우리의 디지털 존재성으로의 기계적 변화까지의 이야기를 4개의 ‘절'과 목소리의 인공적 스코어링 변조로 전달한다. 

<407호> 이순종, 단채널 영상 8’25”,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