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phic design by Timo Lenzen
 
 
 

사진기록: 이정우/ photo credit: Jungwoo Lee

Quantified Selves: Vulnerable Bodies/ 수량화된 존재들 : 취약한 몸들

20세기 말에 이르러, 우리의 시대, 이 신화의 시대에 우리는 모두 기계와 유기체의 이론화되고 조작된 혼종으로서의 키메라이다. 즉, 우리는 사이보그이다. (도나 해러웨이, 사이보그 선언, 1985)

올해의 전 세계적 보건 위기는 기술화된 자아에 대한 도나 해러웨이의 선견지명을 극적으로 뒷받침 하고 있다. 기술화된 자아에 대한 해러웨이의 선견지명은 현실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현실이 사이보그의 미래에 대한 해러웨이의 긍정적 전망을 훨씬 뛰어넘어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COVID-19의 전 세계적 유행은 사회를 사회적 거리두기와 디지털 기술로 에워싸인 채 닫혀 있는 소우주들로 조각내 버렸다. 바로 지금, 연락을 유지한다는 것의 의미는 우리의 스크린, 전화 혹은 다른 (전자) 기기들과 융합되어 있는 우리 자신들의 디지털 표현체를 통해 타인과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상의 소통과 더불어, 동시에 우리의 세계는 대부분 비트와 바이트를 통한 것이기는 하지만 만남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형태로 번역되어 가고 있다. 작금의 의사소통이란 촉각과 후각의 새로운 형태를 창조하는 2차원의 시각적 자극 내에서 구현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참여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물리적 신체성으로부터 단절된 수치기반의 또 다른 자아를 통해 이루어진다.

봉쇄와 자가격리 속에서, 서로 간의 물리적 접촉의 결여는 존재자체의 존재감과 신체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고립되어 있는 동안, 우리의 몸과 마음은 여전히 참여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우리의 디지털 존재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 (디지털 공간에서) 선택한 단계의 숫자, 우리가 받은 ‘좋아요’ 숫자 그리고 스크린을 들여다보는데 사용한 시간으로 표현 가능한 숫자 등으로 수량화가 가능한 디지털 포맷으로 전환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들은 어느 정도는 생산적인 “나”에 대한 환멸감에 빠져있는 우리의 존재를 데이터와 형상을 통해 수량화한다. 우리는 자신과 타인들을 계속 추적하고, 결과를 비교하고, 온전히 수량화된 우리 자신으로 괄목할만한 진화를 해나간다. 우리는 모든 가능한 면에서 계측, 비교 그리고 무엇보다 최적화 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진정 수량화가능한가? 그리고 우리 존재의 수량화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누구이며, 어떤 목적에서 수집되고 있는 것인가? 궁극적으로는, 지금의 정보, 알고리즘 그리고 기술성의 신(新) 탈육체 공간에서 인간 육체의 개념을 구성하는 변수들은 무엇인가?

지난 몇 달 동안 진행된 공동 출판 작업은, 현대 신체성의 개념과 그것의 다원적 개념에 관한 예술가, 큐레이터, 저술가, 과학자 그리고 문화 이론가들의 기고문들을 통해 기술, 인공지능, 젠더, 이주의 정치학에서의 신체 간의 관계성은 물론 감정적, 영적 체화에 관한 개인적이며 집단적인 질문을 탐구하고 있다.

“서로로부터 물리적으로는 물론 감정적으로 고립되는 것은 자본주의적 협업의 본질이자 새로운 형태로서, 컴퓨터와 휴대전화에 극도로 의존하는 소통에 기인한다. 하지만, 모든 형태의 우리 생명의 탈물질화에 대한 이러한 경향은 천사가 될 수 있는 능력에 성공이 좌우되는 상상 속 미래 우주 식민지의 거주자들에서 그 정점을 맞이하게 된다. 이들은 자급자족 가능한 식생과 자기중심적 의지를 통해 살아갈 수 있으며, 지구에서 우리 일상의 자양분인 감각적 자극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비아 페데리치, 육체의 껍질 그 너머 – 현대 자본주의에서 몸을 재고(再考)하기, 다시 만들기 그리고 되찾기, 2020)

By the late twentieth century, our time, a mythic time, we are all chimeras, theorized and fabricated hybrids of machine and organism; in short, we are cyborgs. (Donna Harraway, A Cyborg Manifesto, 1985)

This year’s global health crisis dramatically reinforced Harraway’s vision of a technologized self which not only became a reality but expanded beyond her affirmative prediction of the cyborg’s future. The COVID-19 pandemic scattered the society into enclosed microcosmos enforced by social distancing and digital technologies. In this very present, staying in touch means to connect with others as digital representations of ourselves that immerse with our screens, phones and other devices. Alongside our daily communication, our world has equally been translated into a digital form, making encounters possible, however, mostly through bits and bytes. Communication at this current time takes shape in a two-dimensional visual stimuli, creating a new set of tactile and olfactory senses. Our engagements are constituted through numeric alter egos that, above all, disconnect with their physical corporeality.

In lockdowns and self-isolations, the absence of physical touch with one another highlights the very presence and importance of bodily interactions. And while we stay isolated, our bodies and minds still seek to join. However, our digital presence is now more than ever consistently translated into quantifiable digital formats that count the number of steps we take, the likes we receive and the hours we spend on our screen and so forth. Smart devices quantify the self in disillusionment of a more or less productive ‘me’ through data and figures. We continue to track ourselves and others, comparing results, noticeably evolving into a pure quantification of ourselves. We are measurable, comparable and most importantly, optimizable in every way possible: But are we in fact quantifiable? And who does collect the quantified data of ourselves, and with what particular aim in mind? Ultimately, what parameters constitute the notion of a human body in this new disembodied space of data, algorithm and technicity?

In a collective publication developed through the course of the past months, multiple contributions from artists, curators, writers, scientists and cultural theorists circle around the notion of a contemporary corporeality and its polyphonic notions, exploring personal and collective questions on the relations among bodies in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gender, politics of displacement, as well as emotional and spiritual embodiments.

„(The) physical as well as emotional isolation from each other, which communication through computers and cell phones intensify, is the essence and new form of capitalist cooperation. But this trend toward the dematerialization of all forms of our life culminates in the imagined inhabitants of future space colonies whose success depends on their ability to become angels, who do not require the sensuous stimulations that are our daily nourishment on earth but can live solely by feeding on their self-sufficient, self-centered willpower.“ (Silvia Federici, Beyond the periphery of the skin. Rethinking, Remaking, and Reclaiming the Body in Contemporary Capitalism, 2020) 

이 전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후원으로 진행됩니다.

작가소개/ artist intro

김경묵(1985)은 극영화와 다큐멘터리, 비디오아트, 영상설치 등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오가며 작업하는 영상작가이다. 그는 작품을 통해 경계인들의 불확실한 삶을 탐구해 왔다. 동성애자, 트렌스젠더, 성노동자, 탈북자, 신프롤레탈리아 계급에 주목하여 사회적 시민권을 박탈당한 불법체류자와 같은 이들을 다루었다. 2004년 단편 다큐멘터리 <나와 인형놀이>로 데뷔하여 2005년 <얼굴없는 것들>, 2011년<줄탁동시>, 2014년 <이것이 우리의 끝이다> 등 다수의 작품을 제작했다. 이 작품들은 베니스국제영화제, 로테르담국제영화제, 런던국제영화제, 밴쿠버국제영화제, 시드니국제영화제, 부에노스아이레스국제영화제, 홍콩국제영화제 등 세계 유수의 영화제와 MoMA (뉴욕), New Museum, 일민미술관, 아르코미술관 등의 갤러리에서 상영 및 전시되었으며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또한 타이페이영화제 (대만, 2012), 한불영화제 (프랑스,2012), 인디스페이스 (한국, 2012), 제네바블랙무비영화제 (스위스, 2013) 등에서 그의 전작특별전을 가졌다. <줄탁동시>와 <이것이 우리의 끝이다>는 각각 2012년과 2014년에 국내 개봉했다. 현재는 새로운 기술과 매체의 등장에 따른 인간의 감각/인식의 변형 및 확장에 관심을 지니고 있다.

김단의 작품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개념과 소재에서의  혼종성 (混種性)을 탐구한다. 그는 영원한 외국인으로 살면서, 친숙한 것과 낯선것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동요하였고, 소수민족, 이민자, 외국인, 아시아인, 그리고 여성으로서 혼합된 정체성 사이에서 분투했다. 비디오, 조각, 퍼포먼스를 통해 이러한 경험에서 야기된 불편함, 변위, 소외감을 극복하고 맞서고 있다. 

김선정은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영화, 비디오, 다큐멘터리, 퍼포먼스 등을 통해 우리의 일상속에 내제된 무의식들을 탐구하는 작업을 한다. 작업 과정 속에서 종종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예측 불가능하고 정제되지 않은 이미지와 스토리들을 꺼내보인다.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칼아츠에서 영화 석사를 졸업했다. 그녀의 영화 <불확정성의 법칙>은 에딘버러 국제 영화제에 초청 상영됐으며 그밖에 영화와 비디오 들이 미국 로스앤젤레스와 뉴욕 등에 위치한 다수의 뮤지엄, 갤러리와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린다 바이스 (1987) 은 작가로 조각, 그림, 콜라주와 판화를 기반한 믹스 미디어 설치 작품을 한다. 바이스는 2015년부터 현재  Blockadia*Tiefsee 콜렉티브의 한 맴버로, 그의 설치는 ‘Making crisis visible’,Senckenberg Museum, 프랑크푸르트, ; ‘Get well soon’, Kunsthaus Nürnberg, 뉘는베르크;’ Body / tech’, Museum für angewandte Kunst, 프랑크푸르트; ,Blockadia*Tiefsee’, Generali Foundation, study centrum Museum der Moderne, 잘츠부르크, ‘Blockadia*Tiefsee’, Kunstverein Freiburg, 프라이부르크; ‚Blockadia*Tiefsee‘, CLB, 베를린 등에서 선보였다. 2018, 2019년에는 GYC Forum, 제주도에 참여했다. 또한 NTNU Trondheim,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Offenbach, Museum für angewandte Kunst, 프랑크푸르트 에서 워크숍을 진행했다. 

맥스 그룬버그는 문화 인문학과 컴퓨터 사이언스를 Humboldt University 베를린에서 다니며 Qunatified Self 의 활동에 대한 석사 논문을 진행했다. 2017년에는 Diffrakt라는 이론 공간을 베를린에서 창립하며  “Machine Dreams” 행사 시리즈를 큐레이팅 했다. HfG Karlsruhe에서 그는 KIM이란 연구 그룹의 멤버로 현재 그의 박사논문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통한 사회 경제를 고찰하는 주제로 작성하고 있다. 

사라 리버 모어는 작가로 활동하며 그의 설치작품안에 사회정치적 내러티브와 그 내러티브의 권력 구조 그리고 인간의 vulnerability 를 탐구한다. 독립 잡지와 글을 출판 하며 워크숍, 강연을 지역과 국제적 작가 그리고 문화 전문가들과 함께 협력하여 진행하고 있다. 2019년에 Mañana Bold Art Association 을 친구 및 동료 작가들과 함께 창립하며 정기적 전시와 스크리닝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다체로운 그룹 및 개인전인 "The In-Between & the Not Yet", Poky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마인츠; "Words We Felt", 스페이스원, 서울; "Above And Against: Random", Basis Projekttraum, 프랑크푸르트; "Mapping Discomfort", Sprechsaal Gallery, 베를린 & "Die Ehrlichkeit von Milchhaut", Public Domain, 비엔나 등에서 선보였다. 
웹사이트: sarahrevamohr.net, Instagram: @sarahrevamohr

사만다 보하스 (1984)는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비엔나, 베를린, Karlsruhe에서 작가 Silvia Bächli아래 석사를 마쳤다. 보하시는 Baden-Württemberg, the Art Foundation of Baden-Württemberg, 그리고 the German Academic Scholarship Foundation에서 장학금을 받았으며 Kunsthalle Baden-Baden, Efrimidis / Berlin, and CAN / Neuchâtel 등에서 전시를 선보였다. 웹사이트: samanthabohatsch.com

소냐 마리아 보스너는 작가, 글 작가, 큐레이터 이자 베를린 frieze의 편집 어시스턴트이다. 또한 온라인 잡지 PASSE-AVANT의 공동 편집자이기도 하다.

여인영은 독립 작가이자 큐레이터이로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영국, 미국, 한국에서 영문학, 일러스트레이션, 미술을 수학한 후, 2014년 서울에서 작가 운영 공간 스페이스 원을 창립했다. 이후 한국, 일본, 대만, 독일, 영국, 미국 등 다양한 국가의 미술 공간 및 작가들과 함께 작업하고 실험하며 여러 협력 전시들을 기획했다. 주요 프로젝트 및 전시로 서울도시 데이터 사이언스 연구소 프로젝트  ‘A.I.MAGINE’전시, 강연, 워크샵, 퍼포먼스 기획;스페이스원 프로젝트 ‘Gender Hierarchy’ 독일문화원 싱가폴 후원: 전시, 강연, 퍼포먼스;2017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삼방 회로’: 퍼포먼스 인터뷰와 전시, 퍼포먼스, 패널 토크; 독일문화원 동아시아 지역 프로젝트 ‘A Better Version of  人’ 한국 프로그램: 전시, 패널 토크, 워크숍 기획; 'A Free Breakfast’, ‘Multitude’, ‘Bare';  등의 그룹전시 및 ‘삼방회로’, ‘그 이후 행복하게 잘 살았습니다’ 등의 개인전을 열었다.

캔디스 넴하드 (okcandice)는 베를린과 버밍엄 사이에서 활동하는 작가, 예술가, 시인 그리고 큐레이터이다. 그녀는 ‘ALL FRUITS RIPE’ 시리즈 이벤트와 ‘Poet & Prophetess’의 창시자이다. 그녀는 현재 ‘Birmingham's Eastside Projects’에서 큐레이터를 맡고 있다.

KyungMook Kim (b.1985) is a filmmaker based in Seoul. Ranging from video art, documentary and narrative film to expended form of cinema, his works explore the precarity of the marginalized such as homosexuals, transsexuals, sex workers, and North Korean defectors. He made his directorial debut with Me and Doll-playing (2004) at the age of nineteen. Since then, he has made various forms of cinema, including the Things Trilogy, which consists of Faceless Things (2005), Stateless Things (2011), and Futureless Things (2014). His films have been selected for and received awards in numerou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such as the Venice Film Festival,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the BFI London Film Festival,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and the New Museum. More recently, his works have been invited and screened as retrospectives at the Indie Space (South Korea, 2016), Black Movie Film Festival (Swiss, 2013), Taipei Film Festival (Taiwan, 2012), and Festival du Film Coréen à Paris (France, 2012). His recent interest focuses on capturing the effects of new technology upon individuals whose consciousness has been transformed by rapidly shifting media environments in the age of posthumanism and the liminal presence of silenced figures in contemporary society.

Kim also worked as a journalist and a columnist for a number of publications since 2001. He served on the editorial board of Korea’s only independent film magazine, Independent Film, (2006-2007), and served also as a committee member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Independent Film and Video (2011-2012). In 2015, he objected to the military service following his strong belief in pacifism and was sentenced to eighteen months in prison. He was paroled in 2016 after one year and three months of imprisonment. His recent interest focuses on capturing the effects of new technology upon individuals whose consciousness has been transformed by rapidly shifting media environments in the age of posthumanism and the liminal presence of silenced figures in contemporary society.

Stemming from personal experience, Dahn Gim’s work explores hybridity both in concept and materials. Living as a forever foreigner, she finds herself continuously vacillating between the familiar and the unfamiliar, struggling with hybridized identity as a minority, immigrant, foreigner, Asian, and female. Through video, sculpture, and performance, she subverts and confronts the feelings of discomfort, displacement, and isolation that arise from those experiences.  

Kelly Sun Kim is a filmmaker and video artist working in film, video, experimental documentary, performa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orce of the unconscious in everyday life. She often uses unpredictable, process-driven approaches to arrive at her images, lending her works an element of surprise. Originally from Seoul, Kelly Sun Kim earned an MFA in Film/Video at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Her film, Uncertainty Principle, premiered at Edinburgh International Film Festival, UK. Her works have been exhibited at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the Los Angeles Municipal Art Gallery (LAMAG), the Torrance Art Museum(TAM), the Orange County Museum of Art (OCMA), the Roy and Edna Disney Theater(REDCAT), and various national and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Linda Weiß (b. 1987, Germany) is an artist, working in mixed media installation based on sculpting,drawing, collages, printmaking. Interested in our surrounding and their mass material clashes, she visualizes worlds full of associations with collective and singular imaginary power — divining rode, wormeries, ice cream, regeneration, assemblage. 

Weiß is part of the collective Blockadia*Tiefsee since 2015. Her installations were shown at ‘Making crisis visible’, Senckenberg Museum, Frankfurt (Ger); ‘;Get well soon’, Kunsthaus Nürnberg, Nürnberg (Ger);’ Body / tech’, Museum für angewandte Kunst, Frankfurt (Ger); ,Blockadia*Tiefsee’, Generali Foundation, study centrum Museum der Moderne, Salzburg (AT); ‘Blockadia*Tiefsee’, Kunstverein Freiburg, Freiburg (Ger); ‚Blockadia*Tiefsee‘, CLB, Berlin (Ger). In 2018 and 2019 she participated in the GYC Forum, Jeju (South Korea). She held workshops at NTNU Trondheim (No),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Offenbach (Ger), Museum für angewandte Kunst, Frankfurt (Ger).

Max Grünberg studied cultural anthropology and computer science at Humboldt University Berlin, where he wrote his master thesis on the Quantified Self movement. In 2017, he co-founded the theory space Diffrakt in Berlin, curating the event series “Machine Dreams”. At the HfG Karlsruhe he is part of the research group KIM, currentlywriting his PhD on the challenges of a socialist economy driven by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arah Reva Mohr investigates socio-political narratives and their embedding in power structures and human vulnerability within her installation work. Social imbalances and traces of human intervention come together in specifically composed image and text landscapes. Besides  publishing independent magazine formats and own text contributions, she organizes workshops and lectures on art-related topics in cooperation with local and international artists* and cultural workers*. In the year 2019 she founded together with friends and colleagues the Mañana Bold Art Association, with regular exhibitions and screenings. Previous works were shown in various groups and solo exhibitions, i.e. "The In-Between & the Not Yet", Poky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Mainz; "Words We Felt", Artspace One, Seoul (Korea); "Above And Against: Random", Basis Projekttraum, Frankfurt/M; "Mapping Discomfort", Sprechsaal Gallery, Berlin & "Die Ehrlichkeit von Milchhaut", Public Domain, Vienna (Austria). Website: sarahrevamohr.net, Instagram: @sarahrevamohr

Samantha Bohatsch (* 1984) lives in Berlin. She studied in Vienna, Berlin, and Karlsruhe and completed her studies there as a master student of artist Silvia Bächli. Bohatsch has received art scholarships from the state of Baden-Württemberg, the Art Foundation of Baden-Württemberg, and the German Academic Scholarship Foundation. Her works have recently been shown at Kunsthalle Baden-Baden, Efrimidis / Berlin, and CAN / Neuchâtel (CH). Website: samanthabohatsch.com, Instagram: @iamsmntb

Sonja-Maria Borstner is a writer, curator, artist and editorial assistant at frieze based in Berlin, Germany. She is co-editor of the online magazine PASSE-AVANT.

InYoung Yeo is an independent artist, curator and founder of art space, Space One, based in Seoul. Her work expands from artistic materializations of drawing, painting, text, video installation works to curatorial projects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n topics of Gender, A.I. and Urbanization as her main area of research. She explores various forms of manifestation in visual patterns based on logical structures of the human ‘mind’ and coincidences in the multi dimensional time and space.Yeo has put together and participated in various projects, exhibitions, residencies, talks and workshops in Korea, Japan, Taiwan, Germany, US among others. Some of her major projects and exhibitions include ‘Gender Hierarchy: Recycling its errors’ in Seoul and Singapore, ‘Intersections of Common Space and Time’ a public art intervention project as a part of Seoul Art Foundation Social Project; ‘A.I.MAGINE’ an art and technology collaboration project with Seoul C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Digital Foundation, Seoul Data Science Lab Project at Art Center Nabi, Space One, Goethe-Institut Seoul; ‘a three-way dialogue’ as a part of the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17; East Asia Goethe-Institut A.I. research project ‘A Better Version of 人’ programs in Korea; Group Exhibitions ‘dot.dot.dot’,  ‘A Free Breakfast’, ‘Multitude’, ‘Bare’; and Solo Exhibitions, ‘a three-way dialogue’, ‘happily ever after’.

Candice Nembhard (okcandice) is a writer, artist, poet and curator based between Berlin and Birmingham. She is the founder of the event series ALL FRUITS RIPE and co-founder of arts collective Poet & Prophetess. She is currently an Artist-Curator at Birmingham's Eastside Projects.


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