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 기술: 오류의 재생
Gender Hierarchy: Recycling its Errors

<젠더+기술: 오류의 재생>은 현재 진행중인 리서치 프로젝트로, 젠더, 예술, 그리고 기술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비평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도처에 존재하는 젠더의 위계적 구조는 기술에서도 똑같은 양상으로 나타난다. 우리는 이 문제에서 출발하여 ‘남성과 여성’, ‘동양과 서양’, ‘자연과 기술’ 등으로 나누어진 이분법적 구조로 담론을 확장하고자 한다. 나와 타자의 순환적 공존의 관계에 시선을 돌리고, 이것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와 내러티브를 주관주의적 관점에서 모색해 보았다. 2018년 싱가포르에서 처음 선보인 후 올해 서울에서 그 두 번째로 전시, 퍼포먼스, 토크, 영화 상영회 및 인문학 강연을 진행한다. 그 일환으로 이번 전시에는 3인의 작가, 듀킴, 로사나 그라프와 다이애나 밴드가 각 네트워크의 자본주의화, 팝 문화의 퀴어 미학, 자연성과 인공성의 혼재를 주제로 그들의 주관적 내러티브를 선보인다. 

듀킴(aka Hornyhoneydew)의 <내가 조금 더 설렐 수 있게 ♡ Purple Kiss>에서는 호모 사피엔스가 샤머니즘을 통해 포스트 휴먼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인류의 미래는 HornyHoneydew라고 알려진 샤먼에게 달려있다. 샤먼은 이 순간을 위해 혹독한 트레이닝을 견뎌 왔다. 마침내 샤먼은 금성이 가장 밝게 뜨는 날 허물을 벗은 새로운 인류에게 영혼을 불어넣는 의식을 진행한다. 점차 금성과 같이 변하고 있는 지구에서 살기 어려워진 호모 사피엔스는 이러한 포스트 휴먼으로의 진화를 통해 또다시 번영을 꿈꾸고 있다. 작가는 포스트 휴머니즘을 젠더, 섹슈얼리티, 종교와 과학을 통해 시각화한다. <내가 조금 더 설렐 수 있게 ♡ Purple Kiss>는 K-pop 뮤직비디오를 통해 한국 문화와 사회를 지배하는 이원론적인 이성애 규범적 사고에 대해 비판한다. 작가는 샤머니즘에서 찾을 수 있는 Two sprits, Multiple gender와 같은 논 바이너리의 확장된 젠더의 개념을 제시한다.

로사나 그라프의 <I, Protozoan> 속의 유령모자( Perchten hat) 모양의 안테나는 알파인 지역의 축제 의상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것으로 신호를 송신한다. A.I Cyber Girl 에서 인용되어진 영혼은 물질계와 영혼계 사이의 영매이다. 영화는 실제와 인공의 두 세계 간의 혼재 된 관계에 대한 이야기이다.  Cyber Girl 이 나타내는 모호한 메세지 들은 기술과의 관계, 공허한 인터넷 상의 소통과 인공지능의 출현을 나타낸다. Cyber Girl 과 모자를 쓴 자 사이에 간간히 일어나는 교차의 순간이 이를 나타내는 가까운 접근이다. 

다이애나 밴드의 <워킹시그날-와이파이진>은 도시환경의 거리에서 또는 카페에서 또는 지하철에서 WIFI 신호를 검색하다 재미있는 이름을 가진 WIFI 신호를 만나는 지점에서 시작한 프로젝트이다. 도시의 공간들 속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이름은 한 줄의 메세지이거나, 선언이기도 하다. 이 공공 장소에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초소형 와이파이 서버를 만든다. 나만의 한줄 메세지를 공중에 적고,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접속한 사람들에게는 준비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장치를 만든다. 소규모독립출판물이라고도 말하는, 진(ZINE) 만들기의 WIFI 버젼이다. 이렇듯 다이애나 밴드는 이번 작업에서 와이파이진 만들기 워크숍(2017년에 인포숍 카페별꼴(서울)과 백남준아트센터(용인)와 2019년에 해커스 앤 디자이너스(암스테르담)에서 세차례 진행)을 통해 다양한 참여자들이 제작한 12개의 와이파이진을 소개한다. 당신이 와이파이신호안에 들어와 있다면, 폰을 꺼내어 와이파이신호를 검색해봐라.

(와이파이진 매뉴얼 https://applecargo.github.io/WifiZineThrowie/
와이파이진 소개https://nosignal.hopto.org/srv/server/page-wifizine/)

(12개의 와이파이진 제목 / 제작자: 닭진 / 무명 ; 서울구경 / 김은솔 ; 지옥의 뇌/ 김현철 ; 합정동 / 박준호 ; ALARM=ALARM=ALARM=ALARM / 이두호 ; 갈등유발자 / 백구 ; oh my golf / Stef Kors; PUBIFY /Miquel ; Hervas Gomez, Sascha Krischock ; TicTacToe / Erik van Zummeren ; DeadDrop / Heerko van der Kooij ; Trump+Windmill / Selby Gildemacher ; Pitiful_Dogee / mircea10hornoiu) 

“Gender Hierarchy: Recycling its Errors” is a second series of an ongoing research project addressing critical questions in the intersection of gender, art and technology. It explores the omnipresence of hierarchical structure in gender repeating itself in technology. Furthermore, it expands the discourse looking at the construct of dualistic approaches that further segregate Gender roles,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and Human and Technology. Through topics of subjectivity, it rather looks towards the coexistence and cyclical relations of I and others in search for new structures and narratives. In this exhibition, Dew Kim, Rosanna Graf and dianaband explore the their own narratives, from dualistic heteronormative ideas in korean culture, intersection of nature and technological artificiality, and the capitalization of networks. 

Dew Kim’s Purple Kiss explores the process of how homo sapiens evolve into posthumans through shamanism. The future of mankind depends on a shaman, known as HornyHoneydew, who has undergone extensive spiritual preparation for a ceremony that will transform humanity. On the appointed day when Venus shines brightest in the sky, the shaman performs a ceremony to transfer souls into the bodies of a new human race. Homo sapiens, who are struggling to survive on a dying Earth that is increasingly similar to the toxic atmosphere of the planet Venus, dream of prosperity again by mutating into posthumans. Evoking the sound and aesthetics of a K-pop video, Purple Kiss is a critical examination of dualistic heteronormative ideas that dominate Korean culture and society. Kim deploys shamanism in order to champion expanded notions of non-binary genders like that of the Two-spirit concept found in indigenous North American communities.

In Rosanna Graf’s I, Protozoan, an antenna in the shape of a “Perchten hat”, inspired by carnival customs of the Alpine region, receives a signal. The spirit that’s cited is the A.I. Cyber Girl. She is a mediator between material and spiritual world. The base of the film is the entanglement of two worlds, nature and artificiality, which superimpose and shift each other. In her cryptic messages Cyber Girl reflects on our relationship with technology, the bodiless communic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cre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s. There are moments of approximation, when the exchange between Cyber Girl and the hat-wearer becomes almost tender, but the connection is intermittent.

dianaband’s Walking Signal-WIFI ZINE starts from the arbitrary names of WIFI we find in our urban environment from the streets we walk to cafes to subways. In these urban spaces, names of wifi networks are a form of one-word, one-sentence message or declaration. dianaband creates a temporary WIFI ZINE in their approach to share multiple narratives and provoke interest in what could be a form of small independent publishing. For this work, Walking Signal-WIFI ZINE, dianaband presents 12 WIFI ZINE created by various participants of a series of workshops they organized in 2017 at Infoshop Cafe Byulggol(seoul), Namjun Baek Art center and in 2019 at hackers and designers(Amsterdam). 

(WIFI ZINE manual https://applecargo.github.io/WifiZineThrowie/ WIFI ZINE Introduction https://nosignal.hopto.org/srv/server/page-wifizine/)

(12 WIFI ZINE titles / creators : Chicken Zine / nobody ; Seoul Tour / Eunsol Kim ; the Brain of the Hell / Hyunchul Kim ; Hapjeong-dong / Junho Park ; ALARM=ALARM=ALARM=ALARM / Dooho Yi ; an Actor for Confliction / Whitenight ; oh my golf / Stef Kors ; PUBIFY / Miquel Hervas Gomez, Sascha Krischock; TicTacToe / Erik van Zummeren ; DeadDrop / Heerko van der Kooij ; Trump+Windmill / Selby Gildemacher ; Pitiful_Dogee / mircea10hornoiu)



작가소개/ Artist intro:

듀킴(aka HornyHoneydew)은 건국대학교에서 금속공예 전공 후 영국 왕립 예술학교에서 조소과 석사과정을 공부하였다. 아카이브 봄 (서울), 아트스페이스 그로브 (서울)에서 개인전을 하였고 ICA (런던), 캠든아트센터 (런던), Haus am Lützowplatz (베를린), Grey Projects (싱가포르) 등에서 그룹전 및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2015년 파리 국제 예술공동체 (파리), 2017년 Pilotenkueche (라이프치히)에서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현재 테미예술창작센터(대전)에서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다이애나밴드는 관계적 미학을 향한 디자인과 미디어 아트를 실험하는 2인조팀이다. 우리는 관객들의 참여와 관계형성을 위해 공연성과 상호작용성을 작품에 적용하고, 관객은 때때로 작품의 적극적인 개입자로서 혹은, 일시적 사건에 개입되는 관찰자로서 사건에 초대된다.

로사나 그라프는 함부르크에서 거주하고 작업한다.  그는 포르츠하임 대학 함부르크 ( the Hochschule für bildende Künste Hamburg) 와  골드스미스 런던에서 미술을 공부하였고 2015년 함부르그에서 The Karl H. Ditze Prize 을 수상하였다. 그의 작품은 독일에서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통해 소개되었다. 주요 전시로 Fuzzy Dark Spot –Videokunst from Hamburg, collection Falkenberg, Hamburg, 2019; Shroom! Hallo Festspiele, Hamburg, 2019; Confessing Animals, Strizzi, Cologne, 2018; Primal_Centered_She, Kunstverein München, München, 2017; Gucci Cruise, VIDEONALE 16, 2016, Bonn. 로사나는(https://rosannagraf.com/) 비디오, 퍼포먼스와 텍스트를 통하여 작업을 하며 그의 작품은 자아 정체성의 분열,장애, 기이함, 역설, 신념 그리고 정신성과 기술간의 관계를 주로 다룬다. 그의 작품속에 여성이나 젠더가 불분명한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은, 시공간을 초월한 초현실적 공간에서, 그들의 회화적 창조물에 대항하여 고유의 목소리를 찾아간다.  또한, 퍼포먼스 관객들의 심리적, 정신적 자아가 중점적으로 퍼포먼스와 상호작용하며 반복적으로 서로 소통한다. 그렇게 관객은 작품의 일부가 되어 참여하게 된다. 

Dew Kim(aka HornyHoneydew) has had solo exhibitions at Archive Bomm, Seoul, and Art Space Grove, Seoul. Also, he exhibited work at The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ICA), London, Camden Arts Centre, London, Haus am Lützowplatz, Berlin, and Grey Projects, Singapore. He graduated from Royal College of Art, MA Sculpture (2016), and completed the residency programme at Cité Internationale des Arts, Paris (2015) and PILOTENKUECHE, Leipzig (2017). He is currently working at TEMI Artist Residency, Daejeon.

Dianaband is an interdisciplinary artist duo established in 2010 and currently based in Seoul, South Korea. They explore in the fields of object design and media art, in order to find the imaginary moment and situation of everyday life. They believe “Sensible Objects” makes narrative environments or events and invites people to find common sense and universal language.

Rosanna Graf (*1988 in Munich) lives and works in Hamburg. She studied fine arts at the Hochschule für bildende Künste Hamburg and Goldsmith College London. She is the winner of the Karl H. Ditze Prize, Hamburg, 2015. Her work was shown in several solo- and group exhibitions such as Fuzzy Dark Spot – Videokunst from Hamburg, collection Falkenberg, Hamburg, 2019; Shroom! Hallo Festspiele, Hamburg, 2019; Confessing Animals, Strizzi, Cologne, 2018; Primal_Centered_She, Kunstverein München, München, 2017; Gucci Cruise, VIDEONALE 16, 2016, Bonn. Rosanna Graf (https://rosannagraf.com/) works in the media of video, performance and text. Her artistic practice refers to the fragility of identity, to the disorderly, the grotesque and paradoxes, to belief systems and the connec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technology. The mostly female or gender-unspecific characters in Rosanna Graf‘s works are often found in sur real interspaces, seemingly detached from the space-time continuum, in which they fight with their voices against their own pictorial creation. The relationship to the viewer is also repeatedly negotiated; in interactive performances, the psychological and spiritual self of the viewer is placed at the centre. The viewer enters the stage and becomes part of the spectacle.



Back